북녘의 형제·자매를 만나는 것이 "꿈만 같다" 2차 이산가족 상봉이 오늘부터 2박 3일 동안 다시 진행됩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이산가족 상봉은 여전히 1회성 행사로 이뤄지고 있는데요, 이산가족 상봉,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를 짚어보겠습니다. 김주환 기자! <br /> <br />이제 이산가족 2차 상봉이 오늘부터 시작된다고 김지선 기자가 정리를 해 줬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차 상봉 때와 차이가 어떤 것인지 다시 한 번 정리해 볼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차 상봉이 지금 북한 땅이 고향이었던 사람들 간의 만남이었다면 2차 상봉은 남측 지역이 고향인 사람, 그러니까 자의 반 타의 반으로 북으로 갔던 사람들이 남측의 가족들을 만나겠다라고 신청해서 오늘 오후 3시부터 2차 만남이 이뤄지는 겁니다. <br /> <br />앞선 김지선 기자가 설명을 했는데 81가족 326명 그러니까 남측에서 금강산으로 올라가는 겁니다. <br /> <br />물론 북측에서도 81가족이 내려오는데 몇 명이나 되는지는 아직 파악이 안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최고령자는 100살인 강정옥 할머니, 제주도 분인데요. 북한의 여동생을 만나겠다고 했고 부자 상봉도 있습니다. 조정기 씨라고 67살 된 분이 북측의 아버지 조덕영 씨를 만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까지 이산가족 상봉 21차례 이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횟수도 상봉 규모도 적다보니까요. 아무래도 그동안의 한을 푸는 게 아니라 더 큰 한을 가슴에 안고 발길을 돌려야 한다 이런 아픔이 있다 이런 지적이 꾸준히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해결책이 없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해결책은 일단 정례화를 하고 상봉 규모를 크게 하면 된다, 결론부터 그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그렇게 하기까지 과정은 넘어야 할 산이 너무나 많습니다. 일단은 현황부터 설명을 드릴 필요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말 기준으로 13만 2603명이 상봉 신청을 했습니다. 그러니까 우리의 기준입니다. <br /> <br />그중에 7만 5741분, 57% 정도 되는데 이런 분들이 고령으로 돌아가셨습니다. <br /> <br />2000년 8월 15일부터 이번까지 지난달까지 상봉을 한 사람은 1956명에 불과합니다. 이 통계 기준을 제가 말씀드리는 이유는 1956명이 만난 것은 남과 북 당국 간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통해서 만난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1990년대부터 사실은 민간 통로를 통해서 제3국에서 상봉한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. 이런 경우가 한 3400여 명이 이런 방식으로 해서 만났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82412101374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